티스토리 뷰
반응형
휴일에 버그를 발견했다. 한동안 존재하던 버그였다. 발견하자 마자 바로 고쳤다. 바로 공유할까 하다가 휴일 끝나고 공유해야지 라고 생각하고 휴일을 보냈다. 그리고 평일에 까먹었다.
다른 동료가 데이터를 보던 도중에 그 버그가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다. 다음 부터는 문제가 있으면 바로 공유해달라는 피드백을 받았다.
---
개발자가 자의적으로 어떤 버그는 큰 영향이 없는 버그라고 판단하고 공유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. 그러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하는 경우에 (공유받지 못한) 그 이벤트를 통해서 영향받은 데이터가 팀의 의사결정이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가도록 할 수 있다. 버그가 있었고 그 버그가 데이터를 왜곡했고 팀은 왜곡된 데이터로 잘못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. 공유를 하지 않은 개발자의 판단이 몇명의 동료가 몇일 혹은 몇주 동안 헛수고를 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.
버그 자체는 쉽게 고칠 수 있을 것이다. 그러나 중요한 것은 고치는 것 만큼이나 혹은 고치는 것 보다 그 이벤트를 공유하는 것이다. 이번에 제대로 배웠다.
반응형
'Mistake manage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수 노트 2021-07-28 돈과 관련된 기능은 중요하다 (0) | 2021.07.29 |
---|---|
실수 노트 2021-02-17 개발자의 업무와 공유의 중요성 (1) | 2021.02.18 |
문제 해결 노트 2020-12-08 (0) | 2020.12.09 |
리펙토링 사실은 리빌딩 실패 사례 (0) | 2016.01.19 |
HTML elements의 SRC에 빈 값을 넣지 말자! (0) | 2015.06.05 |
지운줄 알았던 코드, 일정 관리 및 우선순위 조정 능력 (0) | 2014.12.08 |
공지사항
- Total
- 203,215
- Today
- 87
- Yesterday
- 91
TAG
- springboot
- 웹
- 도커
- 객체지향
- S68
- sanur
- AWS
- 실수노트
- ES6
- JPA
- container
- 독후감
- ecma6
- javascript
- rest
- Bali
- 사누르
- 컨테이너
- spring
- 개발자
- 한달살기
- html
- 회고
- spring boot
- AWSKRUG
- hands-on
- Docker
- 웹을 지탱하는 기술
- Clean code
- 발리